-
22년 1회차 정보처리기사 취득 후기자격증/정보처리기사 2022. 6. 18. 03:18728x90
Q-net 시험 결과보기 22년 6월 17일 정기 기사 1회 합격 발표 드디어 정보처리기사를 취득했다!
올해 초 겨울방학 이제 졸업반 4학년이 되기도 하고 명확히 진로를 정하지 못해서 취업에 대해 심히 걱정을 하기도 했고
어찌어찌 올해 초부터 IT 개발 직군 취준을 확고하게 목표하기로 했다.
필기
일단 목표는 잡았으니! 걱정하며 아무것도 안하기보다 4학년이 됐고 기사 자격증 응시 조건도 됐겠다,
기사 1회차 필기 바로 신청!
근데 방학기간이라 유야무야 시간이 흐르다가 시험 2주 전쯤 공부 시작...
일단 네이버에 정보처리기사 검색 후 앞에 뜨는 교재 이기적 책으로 공부 시작했다.
사실 어느 정도 프로그래밍과 SQL정도는 배경지식이 있었기에 별 큰 걱정은 안 하고 책을 폈지만,
와.. 범위가 너무 상당해서 놀랬다..
아무리 프로그래밍과 데이터베이스 관련 쪽에 배경지식이 있었다 한들
나는 컴퓨터공학을 전공하지는 않아서 디자인 패턴 같은 소프트웨어공학 쪽 지식이 전무했다.
암기할 것이 너무 많았고 5과목 보안 쪽에서도 외울게 너무 많아 힘들었다.
진짜 시험 3일 전부터는 열심히 공부해서 필기는 나름 힘겹게 취득했었다.
결국 합격해서 다행이었지만
그리고 정보처리기사를 처음 공부해나가면서 기존에 알지 못했던 IT용어들을 참 많이 (너무많이) 접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고 특히 소프트웨어 공학쪽 내용을 쭉 정리하며 공부할 수 있는 계기가 되어 좋았던 것 같다.
또 이번학기 컴퓨터공학과의 안드로이드 프로그래밍 수업을 듣는데 mvvm 패턴이라던지 팩토리 메소드 패턴이라던지,
정보처리기사 필기 공부하면서 그냥 그런게 있구나 하고 용어만 정리한 상태였지만,
실제 프로그래밍 적용은 정말 다른 내용이라 어려운건 마찬가지였지만 그래도 용어라도 미리 정리해본 덕분에
그나마 친숙하게 아 이게 이소리고.. 이런 원리구나 하고 이해에 도움이 됐다.
뭐 정처기가 실제 개발이나 이런데에 직접적인 영향은 못끼쳐도 용어라도 한번 공부해서 정리해보고 나중에 이거구나 하고 친숙함에 도움을 줬다면 이것만으로도 정처기 공부 선택은 잘했다고 생각한다!실기
실기는 정말...ㅋㅋㅋ..
4학년 1학기 졸업 프로젝트를 진행하느라 정말 공부할 시간이 없었다.
필기 합격 후 그냥 정보처리기사는 잊은 듯 살다가 실기 신청은 했지만,
4월에 중간고사 기간이 지나고 졸업 프로젝트를 완성해내는 것만으로도 정말 시간이 부족했기에
공부를 전날까지도 아예 못했다..
5월 7일 정처기 실기시험은 정말ㅋㅋㅋ 당일날에 새벽에 밤을 세서 4시간 동안 속성으로 벼락치기 공부했다.
결론적으로 단 하루 공부해서 정말 운이 좋게도!
프로그래밍과 SQL은 아는 내용이었고 다른 이론적인 내용도 아는 내용이 조금씩은 나와서,
정말 운 좋게 합격하게 되었다..!
처음 가채점으로는 합격점수에 살짝 못 미쳐서 체념했었는데, 다행히 부분점수의 존재를 알게 되었다.
부분점수를 반영한다면 어떻게 합격선에 걸치지 않을까 생각했었는데 감사하게도 ㅜㅜ 부분점수 덕에 합격하게 되었다.
진짜 정말 기분이 좋았다..ㅋㅋㅋ
워낙에 범위가 넓다 보니 열심히 공부해도 핀트가 맞지 않으면 합격하기 어렵고,
또 나처럼 운 좋게도 합격하는 경우들이 있는 것 같다.
그래도 자만하지 말고 이제 한걸음 나아갔으니 코딩테스트, 어학, 포트폴리도 등등 더 잘 준비해서 나중에 취업할 때까지 겸손하게 나아가야겠다.
취득한 자격증 이제 공군 가산점 때문에 4년 전에 취득한 정보처리 기능사와 더불어 기사 자격증이 하나 생겼다.
뭔가 좀 어느 정도 그래도 쓸만한 자격증을 처음 취득하게 된 것 같아 뿌듯하고 이제 여름방학과 다음 학기에 맞춰 다른 자격증을 올해 한두 개 더 취득하고 더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도 커진 듯하다.
다음 자격증은 SQLD와 리눅스 마스터 2급 생각 중728x90반응형